국내 논문지(KNOM Review) 투고규정

1998. 11. 27. 제정
2007. 8. 9. 개정
2014. 12. 1. 개정

제 1조(목적)
본 규정은 한국통신학회 통신망운용관리연구회(이하 본 연구회)에서 발간하는 국내 논문지 [KNOM Reveiw]에 투고되는 논문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.

제 2조(범위)
투고 논문은 네트워크관리에 관련되는 것으로서, 학술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내용이거나 독창성이 인정되는 것이어야 하며, 국내외 타 논문지에 투고하여 심사 중 이거나 게재 되었던 논문은 투고할 수 없다.

제 3조(투고자)
논문 투고자는 본연구회 회원이어야 한다. 단, 회원과의 공동 기고자 및 초청 기고자는 예외로 한다.

제 4조(편집위원회)
논문지 편집위원회는 저자에게 투고 논문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. 수정을 요구 후 1개월이 지나도록 저자로부터 회신이 없으면 포기하는 것으로 간주한다.

제 5조(책임)
게재 논문의 내용에 대한 최종 책임은 저자가 진다.

제 6조(투고)
심사용 논문은 한글 또는 영문으로 쓰되 가능한 한 HWP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파일을 Editor-in-Chief (혹은 Guest Editor)에게 KNOM Review 홈페이지의 논문 submission system을 이용하여 보낸다.
(1) 논문의 파일명은 영문 또는 숫자, 하이픈으로만 구성되어야 하며, 저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. (바른 예: 20390212.pdf 또는 ATM.hwp)

(2) 투고 확인 및 심사의견 등은 교신저자에게 이메일로 통보된다.

(3) ‘투고 신청서’ 제출시, ‘연구윤리서약서’ 및 ‘게재 요청 및 저작권 이양동의서’ 양식을 함께 작성하여 편집위원장 이메일로 제출하여야 한다.

제 7조(논문의구성)
논문의 구성은 아래 사항을 따라야 한다.
(1) 국문/영문 제목, 국문/영문 초록, 영문 주제어(키워드), 서론, 본론, 결론, 부록, 영문참고문헌) 순으로 작성되어야 한다. 본론은 2개 이상의 절들로 나누어 질 수 있다. (모든 표와 그림들의 국문/영문 제목들은 본문에 포함되어야 하며, 표 및 그림 등 별도의 첨부 파일이 있을 경우, 하나로 압축하여 시스템에 등록하여야 한다.)

(2) 모든 표와 그림의 내용은 반드시 영어로 기재되어야 하며, 출판시 읽을 수 있어야 한다.

(3) 참고문헌은 인용문 상단 우측 [ ]안에 번호를 기입한다. (예: 통신[2], 네트워크[2-6], 서비스[1-2,7])

(4) 투고된 논문에 모든 저자 관련 정보는 삭제되어야 한다. (저자 관련 정보의 노출로 인한 불이익에 대한 모든 책임은 저자에게 있다.)

제 8조(수정논문)
수정 논문 제출 시 아래 사항을 따라야 한다.
(1) 심사결과 통보 시 첨부되는 답변서 양식에 맞추어, 심사의견들 각각에 대한 저자의 답변과 수정사항을 항목별로 작성하여 수정된 논문과 함께 제출한다.

(2) 수정사항은 수정된 논문에 빨간 색 또는 파란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.

(3) n차 수정 논문의 파일명은 ‘(논문번호)_n차 수정논문.(hwp 또는 pdf)'로 하고, 답변서 파일명은 ’(논문번호)_n차 답변서.(hwp 또는 pdf)'로 하여 시스템에 등록한다.

(4) 수정사항은 수정된 논문에 빨간 색 또는 파란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.

제 9조(참고문헌)
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한 것만을 반드시 영문으로 기재해야 하며, 기재 방법은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하고¸ 잡지명과 도서명에는 기울임 효과를 준다. 참고문헌 목록에는 적어도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1편(국내 학술대회 및 국내학회 발행 논문지 포함) 이상이 포함되어야 한다.
(1) 논문지: 저자명, “제목,” 잡지명 , 권, 호, 페이지, 월, 연도.

(2) 단행본: 저자명, 도서명 , 출판사명, (페이지), 연도.

(3) 학술대회 논문집: 저자명, “제목,” 학술대회논문집명 , 페이지, 개최도시, 국가, 월, 연도.

(4) 사이버 문서: 저자명, 제목 (연도), 접속일시(월, 일, 연도), URL.
(예)
- 논문지의 경우
[1] S. K. Oh and E. B. Goldsmith, “The better manuscript preparation for speedy publication,” J. Commun. Networks (JCN), vol. 13, no. 6, pp. 10-16, Dec. 2011.
- 단행본의 경우
[2] J. K. White, Communications and Netwoks, 2nd Ed., KICS Press, 2010.
- 학술대회 논문집의 경우
[3] K. B. Lee, S. Smith, and K. K. Silver, “Conference proceeding paper,” in Proc. KICS Int. Conf. Commun.2010 (KICS ICC 2010), pp. 201-205, Jeju Island, Korea, June 2010.
- 사이버 문서의 경우
[4] J. Park, A Guide to Journal Publication (2011), Retrieved Aug., 30, 2012, from http://www.kics.or.kr.

제 10조(초록)
초록은 600자 이내의 한글초록, 200 단어 이내의 영문초록으로 하며, 논문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해야 한다.

제 11조(장, 절)
장 및 절에 해당되는 번호는 아라비아 숫자로 각각1., 1.1 등과 같이 표기한다.

제 12조(그림, 표)
그림, 표는 인쇄될 크기로 선명하게 작성하여 본문 중에 위치를 정하고, 그림의 명칭은 하단에, 표의 경우는 상단에 각각 그림 1, Fig 1 및 표 1, Table 1 로 표기한다.

제 13조(심사)
투고된 논문은 각 논문당 2명 이상의 전문 심사위원들이 심사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게재 여부가 결정된다.

제 14조(최종본)
채택된 논문은 double column, single spacing으로 12 페이지 이내로 작성한다. camera-ready version sample 파일을 KNOM Review 홈페이지 (http://www.knom.or.kr/knom-review)에서 다운로드 받아 작성하여 Editor-in-Chief (혹은 Guest Editor)에게 제출하여야 한다.

제 15조(배포)
논문지에 게재된 논문은 본 연구회나 한국통신학회의 승인 없이 무단 복제할 수 없다.

제 16조(공개)
투고 된 논문은 컴퓨터상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한다.

부 칙

본 규정은 2014년 12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한다.